미국 주식 데일리 이슈

2025년 4월 18일 미국 주식 이슈 : 파월 해임? 관세와 금리 정책 갈등

Quantum Asset 2025. 4. 18. 08:48
반응형

안녕하세요, Quantum Asset 블로그 독자 여러분!

오늘은 한국 시간 기준 2025년 4월 18일 금요일 오전입니다. 어제 밤(4월 17일) 미국 주식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연준 의장 제롬 파월 간의 정책 갈등, 그리고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주요 지수와 섹터별 동향, 그리고 시장에 영향을 미친 이슈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주요 지수 동향

어제 미국 주요 주식 지수는 기술주와 반도체 섹터의 약세로 인해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월 16일 종가 약 39,968.96에서 소폭 상승하며 0.25% 오른 40,068.96 수준에서 마감했어요.
  • S&P 500 지수: 4월 16일 종가 약 5,342.66에서 0.4% 하락하며 5,321.29 수준에서 마감했어요.
  • 나스닥 종합지수: 4월 16일 종가 약 16,486.71에서 1.1% 하락하며 16,305.45 수준에서 마감했어요.

나스닥은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폭이 두드러졌고, VIX(공포지수)는 31선으로 상승하며 투자 심리의 불안정성을 보여줬습니다.


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

1. 파월 vs. 트럼프: 관세와 금리 정책 갈등

어제 시장의 가장 큰 이슈는 연준 의장 제롬 파월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공방이었습니다. 파월은 4월 16일 시카고 경제 클럽 연설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 데 이어, 4월 17일 추가 발언에서 “연준은 데이터 기반으로 금리 결정을 하며, 정치적 압력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강조했어요. 이에 트럼프는 X 게시물을 통해 “파월은 항상 늦고 틀렸다”며 금리 인하를 촉구했고, 심지어 파월 해임 가능성까지 언급했어요. 이 갈등은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하며 기술주와 반도체 섹터의 하락을 부추겼습니다.

2. 반도체 섹터 약세: TSMC 실적 발표 영향

대만의 반도체 제조업체 TSMC는 4월 17일 2025년 1분기 실적 전망을 발표하며,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와 수요 둔화 우려를 언급했어요. 이는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쳤고, 엔비디아(NVDA)와 AMD는 각각 2~3% 하락하며 나스닥 하락을 주도했어요. TSMC의 발표는 AI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공급망 불확실성을 부각시켰습니다.

3. 소매 판매 데이터와 소비재 섹터

4월 17일 발표된 미국 3월 소매 판매 데이터는 전월 대비 0.7% 증가하며 예상치(0.5%)를 상회했어요. 이는 소비 심리가 여전히 견조하다는 신호로, 월마트(WMT)와 타겟(TGT) 같은 소비재 주식은 1~2% 상승하며 다우존스의 상승을 견인했어요. 하지만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소비재 섹터의 장기 전망에 그림자를 드리웠습니다.

4. 에너지 섹터 반등

유가(WTI 기준)가 배럴당 82달러 선으로 소폭 반등하며 에너지 섹터가 강세를 보였어요. 엑슨모빌(XOM)과 셰브론(CVX)은 각각 1.5% 이상 상승하며 시장의 하락세를 일부 상쇄했어요. 이는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과 공급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5. 옵션 만기일과 변동성

4월 17일은 옵션 만기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어요. 투자자들은 관세 정책과 연준의 다음 행보를 주시하며 신중한 거래를 이어갔고, 이는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를 강화했습니다.


섹터별 주요 움직임

  • 기술주: TSMC의 실적 전망과 파월-트럼프 갈등으로 엔비디아, AMD 등 반도체 주식이 하락하며 나스닥을 끌어내렸어요.
  • 소비재 섹터: 강한 소매 판매 데이터로 월마트와 타겟이 상승하며 다우존스를 지지했어요.
  • 에너지 섹터: 유가 반등으로 엑슨모빌과 셰브론이 강세를 보였어요.
  • 금융 섹터: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해 은행주는 혼조세를 보였지만, 골드만삭스(GS)는 소폭 상승했어요.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단기 전망

파월과 트럼프 간의 갈등이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어, 당분간 변동성이 클 가능성이 높아요. 특히 기술주와 반도체 섹터는 관세와 금리 정책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VIX가 31선을 넘어서며 투자 심리가 불안정한 만큼, 리스크 관리에 신경 써야 할 때예요.

투자 조언

  • 단기 투자자: 기술주와 반도체 섹터의 추가 하락 가능성에 대비해 관망하는 전략이 좋아 보입니다. 소비재 섹터(월마트, 타겟)나 에너지 섹터(엑슨모빌)처럼 단기 모멘텀이 있는 종목에 주목하세요.
  • 장기 투자자: 관세 정책의 장기적 영향은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AI와 반도체 섹터의 구조적 성장 가능성은 유효해요. 엔비디아나 AMD의 조정이 깊어진다면 분할 매수 기회를 고려해볼 만합니다.

반응형

마무리

어제(4월 17일) 미국 주식 시장은 파월과 트럼프의 정책 갈등으로 인해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기술주와 반도체 섹터는 TSMC 실적 전망과 관세 우려로 하락했지만, 소비재와 에너지 섹터는 강한 소매 판매 데이터와 유가 반등으로 상승세를 기록했어요. Quantum Asset 팀은 독자 여러분이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계속해서 시장 동향과 인사이트를 제공할게요.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

728x90
반응형